728x90 전체 글389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HTTP부터 gRPC까지 웹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이 글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HTTP, HTTPS, WebSocket, SOAP, REST, GraphQL, RPC, gRPC 등의 주요 프로토콜에 대해 살펴보고, 각 프로토콜의 개념, 특징, 장단점, 그리고 파이썬으로 구현한 코드 예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개념:HTTP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웹 페이지 로딩, API 호출 등에 사용됩니다.특징:요청-응답 구조..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네트워크(Network) 2024. 8. 13. 네트워크 응용 계층 식별자: 세션 ID, 쿠키, OAuth 토큰 등 네트워크와 웹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주요 식별자들네트워크와 웹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태를 추적하며, 권한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이 글에서는 네트워크의 응용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요 식별자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세션 ID뿐만 아니라 쿠키, API 키, OAuth 토큰, 사용자 ID, JWT와 같은 다양한 식별자를 살펴보고, 이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세션 ID (Session ID)세션 ID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세션 ID가 생성되고, 이 ID를 통해 서버는 사용자의 상태를 추적합니다. 주로 쿠키나 URL 파라미터로 전달되며, 사용자가 세션 내에서 수행한 ..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네트워크(Network) 2024. 8. 13. NAT와 NAPT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IP 주소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그 중에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는 네트워크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NAT와 NAPT의 개념, 특징,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각각의 사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개념: NAT는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내부 네트워크 장비들이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라우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합니다.특징:사설 IP..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네트워크(Network) 2024. 8. 12. IP, ICMP, ARP, RARP, DHCP: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이해와 계층별 분류 네트워크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프로토콜들이 있습니다. 이들 중 IP, ICMP, ARP, RARP, DHCP는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특정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프로토콜들의 기능을 살펴보고, OSI 7계층 모델과 TCP/IP 프로토콜 스택에서 어떻게 분류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DHCP가 RARP를 어떻게 대체하게 되었는지도 설명하겠습니다.1. IP (Internet Protocol)역할: IP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입니다.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주소 지정과 경로 설정을 담당합니다.OSI 7계층: 네트워크 계층 (Layer 3)TCP/IP 계층: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2. IC..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네트워크(Network) 2024. 8. 12. 동기 vs 비동기: 네트워크 통신과 프로그래밍에서 알아야 할 기본 개념 현대의 기술 환경에서는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용어들이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서와 프로그래밍 및 시스템 설계에서 어떻게 다르게 사용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가지 맥락에서 동기와 비동기의 의미를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네트워크 및 통신 프로토콜에서의 동기와 비동기통신 프로토콜에서 동기와 비동기 개념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에서 클럭 신호의 사용 여부와 관련이 있습니다.동기 통신(Synchronous Communication):정의: 송신기와 수신기가 공통의 클럭 신호를 사용해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주고받는 방식입니다.사례: 마치 지하철 열차가 정해진 시간에 출발..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네트워크(Network) 2024. 8. 11. [순열 사이클 분할] 백준 10451 순열 사이클 이번 포스트에서는 백준 10451번 문제인 "순열 사이클"을 파이썬으로 풀이한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문제는 주어진 순열 내에서 사이클이 몇 개 존재하는지를 찾는 문제로, DFS(깊이 우선 탐색)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순열 사이클 분할 설명순열 사이클 분할은 주어진 순열을 사이클 구조로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순열은 각 요소가 다른 요소로 매핑되는 일종의 함수입니다. 이때, 순환 구조(사이클)를 찾는다는 것은 해당 순열 내에서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순열이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고 가정합니다:( \text{순열} = [2, 3, 1, 5, 6, 4] )이 순열에서 사이클을 찾아보면:1 → 2 → 3 → 1 (사이클 형성)4 → 5 → 6 → 4 (사이.. 알고리즘공부(Algorithm Study)/문제풀이(ProblemSolving) 2024. 8. 10. [다익스트라] 백준 1753 최단경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백준 1753번 문제를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풀이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특정 시작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으로 가는 최단 경로를 찾는 문제로, 그래프 이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제 유형입니다.문제 설명주어진 그래프에서 시작점으로부터 다른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그래프는 방향성이 있으며, 간선마다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이와 같은 가중 그래프에서의 최단 경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개요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그래프 이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가중치가 있는 그래프에서, 하나의 시작 정점으로부터 다른 모든 정점으로 가는 최.. 알고리즘공부(Algorithm Study)/문제풀이(ProblemSolving) 2024. 8. 10. [등차수열] 백준 2108 수들의 합 이번 포스팅에서는 백준 2108번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이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특정 수 ( N )을 등차수열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특히 이 문제는 자기 자신을 포함한 수열을 고려하는 것을 요구합니다.문제 분석주어진 숫자 ( N )을 자기 자신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진 등차수열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찾는 것이 목표입니다. 수열의 길이가 1 이상인 등차수열을 찾는 과정에서 우리는 ( N )의 약수와 관련된 규칙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핵심 개념등차수열이란?: 등차수열은 연속된 수들의 합입니다. 예를 들어, 1, 2, 3, 4, 5는 모두 연속된 수들이므로, 그 합은 15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어떤 수 ( N )을 연속된 자연수들의.. 알고리즘공부(Algorithm Study)/문제풀이(ProblemSolving) 2024. 8. 10. 파이썬 nonlocal 키워드 완벽 이해: 중첩 함수에서 변수 관리하기 파이썬을 사용하다 보면 중첩 함수(내부 함수)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첩 함수에서는 외부 함수의 변수에 접근하거나 이를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nonlocal 키워드입니다. 이 글에서는 nonlocal의 개념과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를 통해 변수 관리와 클로저 구현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nonlocal 키워드란 무엇인가?nonlocal의 개념과 필요성nonlocal은 파이썬에서 함수 내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로, 중첩된 함수 내에서 바깥 함수에 선언된 변수를 참조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만약 nonlocal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중첩된 함수 내에서 변수를 할당할 때 새로운 지역 변수가 생성됩..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파이썬(Python) 2024. 8. 9. 파이썬 클로저로 이해하는 데이터 은닉, 팩토리 함수, 데코레이터 패턴 클로저를 활용한 데이터 은닉, 팩토리 함수, 데코레이터클로저는 파이썬의 고급 프로그래밍 기법 중 하나로, 이를 통해 데이터 은닉, 팩토리 함수, 데코레이터와 같은 유용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개념을 클로저와 함께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데이터 은닉 (Data Encapsulation)데이터 은닉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특정 데이터나 변수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변경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클로저를 사용하면 함수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를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은닉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def make_counter(): count = 0 #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변수 def counter():..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파이썬(Python) 2024. 8. 9. 파이썬의 일급 객체와 클로저 개념 이해 파이썬의 일급 객체와 클로저 개념 이해하기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일급 객체(First-Class Citizen)"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일급 객체란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서 다른 데이터 타입과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파이썬과 같은 고급 언어에서 매우 유연하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파이썬에서 일급 객체의 특성파이썬에서는 함수가 일급 객체로 취급됩니다. 일급 객체로 취급된다는 것은 함수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변수에 할당 가능: 함수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ef greet(name): return f"Hello, {name}!" say_hello = greet print(say_hello("Alice")) #..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파이썬(Python) 2024. 8. 9. sys.stdin.readline() vs input() in Python 파이썬에서 입력을 받을 때, 많은 사람들이 input() 함수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알고리즘 문제나 대량의 입력을 다룰 때는 sys.stdin.readline()이 더 효율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sys.stdin.readline() vs input()1. 속도 차이sys.stdin.readline()은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이 함수는 버퍼를 사용하여 입력을 처리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훨씬 더 효율적입니다. 반면, input()은 내부적으로 sys.stdin.readline()을 사용하지만, 추가적으로 개행 문자를 제거하는 작업이 포함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2. 입력 처리 방식sys.stdi.. 알고리즘공부(Algorithm Study)/기본개념(Concept) 2024. 8. 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