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evOps5 SRE, DevOps, 개발자의 업무 초점과 주요 지표(Key Metrics) 한눈에 보기 개발자(Developer), SRE(Site Reliability Engineer), 데브옵스(DevOps Engineer)는 각각 업무 초점이 다르기 때문에 주요하게 보는 지표(Key Metrics)도 다르다.📌 1. 개발자(Developer) - 기능과 코드 품질에 집중🔹 주요 지표✅ 리드 타임(Lead Time for Changes)코드가 개발 완료된 후 실제 배포까지 걸리는 시간짧을수록 좋음✅ 배포 빈도(Deployment Frequency)코드 변경이 얼마나 자주 배포되는지지속적 배포(CD)를 잘 활용하면 배포 빈도가 높아짐✅ 변경 실패율(Change Failure Rate)배포된 코드가 장애를 일으켜 롤백되는 비율낮을수록 안정적인 코드 품질을 유지하는 것✅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 2025. 3. 8. 점심 1 on 1 원온원(1 on 1) 미팅 이란?어떤 특정한 주제나 목적을 가지고 두 명의 참가자가 1:1로 만나 진행하는미팅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업무 상황에서 사용되며, 매니저와 팀원간에 개인적인 상호 작용과 소통을 강화하고 업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다.2025년 2월 4일, 회사 동료 분과 단둘이 점심 식사를 하며 대화를 나눴다.전날(2025년 2월 3일), 점심 식사를 하자고 하셨기에 설렘 반, 기대 반으로 그 시간을 기다렸다. 가벼운 아이스 브레이킹(근황 토크, 주변 지인 이야기 등)을 하며 식사 장소에 도착했고, 주문을 마친 후 식사를 하면서 생각을 공유했다.말이 좋아 가벼운 아이스 브레이킹이지, 모든 내용에는 유의미한 이야기들이 가득했다. 얼마 전 다녀온 찐 신혼 유럽 여행(결혼 직후에는 요.. 끄적끄적(Memo)/끄적거림(scribble) 2025. 2. 4. Kernel에서 시스템 콜이란? DevOps Engineer가 꼭 알아야 할 시스템 콜 정리 1. 시스템 콜이란?시스템 콜(System Call)은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 체제의 커널에 직접 접근하여 시스템 자원(파일, 프로세스, 네트워크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수준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자원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해 이러한 작업을 처리해야 합니다. 시스템 콜은 이러한 작업을 중재하는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파일을 읽거나 쓰는 작업,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작업,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작업은 모두 시스템 콜을 통해 이루어집니다.2. 시스템 콜의 특징보안성: 시스템 자원은 커널에 의해 보호되며, 시스템 콜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합니다.추상화: 시스템 콜은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추상화를 제공하여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 2024. 9. 21. Kubernetes에서 QoS와 Resource Request 및 Limit의 개념: CPU와 Memory의 의미 1. QoS란 무엇인가?QoS(Quality of Service)는 Kubernetes에서 파드를 실행할 때, 그 파드에 대한 자원 할당의 우선순위를 관리하는 메커니즘입니다. Kubernetes 클러스터는 여러 파드를 동시에 실행하기 때문에, 각 파드에 적절한 자원 할당 및 제한을 설정해야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Kubernetes는 파드의 QoS 클래스를 세 가지로 나눕니다:Guaranteed: 요청된 자원과 제한이 일치하는 경우. 이 클래스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습니다.Burstable: 요청된 자원이 제한보다 작을 때. 유연한 사용이 가능하지만, 자원이 부족할 경우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BestEffort: 자원 요청이 전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우선순위가 가장 낮고, 자원이..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DevOps 2024. 9. 20.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 컨트롤플레인과 데이터플레인: 구조와 통신 방법 이해하기 1. 쿠버네티스란?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배포, 확장, 관리를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다양한 클러스터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2.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개요쿠버네티스는 크게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컨트롤플레인(Control Plane)과 데이터플레인(Data Plane). 이 두 구성 요소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적절하게 실행되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3. 컨트롤플레인(Control Plane)컨트롤플레인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API 서버 (kube-ap..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DevOps 2024. 8. 13.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