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리눅스4 시스템 성능 분석과 최적화 - 1 p.4어떤 도구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면 도구를 잘못 설계한 것이다. p.14만약 대상 환경의 데이터 경로를 보여주는 도식이 없다면 찾아보거나 직접 그리자. 그 그림은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전체 영역에서 간과하는 부분이 없게끔 도와줄 것이다. p.16각 개발 단계를 거칠 때마다 앞 단계에서 내린 아키텍처 결정으로 인해 성능 문제를 수정하는 것은 점차 더 어려워진다. p.17자원 사용을 감시하는 이유는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가능한 한 이를 예측하기 위해서다. p.18어떤 지표가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는 어느 정도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나 실 사용자의 성능 기대치에 달려 있다. 주관성은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객관화할 수 있다. p.19성능상 문제가 있다는 .. 독서(Reading) 2025. 3. 5. 시스템 콜 약어 및 의미 정리 📌 시스템 콜 약어 및 의미 정리시스템 콜 약어 의미 설명fork()-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 (부모 프로세스를 복제)execve()execute (exec) + variable environment (ve)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환경 변수 전달exit()-현재 프로세스를 종료waitpid()wait + process ID (pid)특정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getpid()get + process ID (pid)현재 프로세스의 ID를 반환getppid()get + parent process ID (ppid)부모 프로세스의 ID를 반환getuid()get + user ID (uid)현재 프로세스의 사용자 ID를 반환setuid()set + user ID (uid)사용자 ID 변경getgid..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운영체제(OS) 2025. 3. 5. Kernel에서 시스템 콜이란? DevOps Engineer가 꼭 알아야 할 시스템 콜 정리 1. 시스템 콜이란?시스템 콜(System Call)은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 체제의 커널에 직접 접근하여 시스템 자원(파일, 프로세스, 네트워크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수준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자원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운영 체제 커널을 통해 이러한 작업을 처리해야 합니다. 시스템 콜은 이러한 작업을 중재하는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파일을 읽거나 쓰는 작업,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작업,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작업은 모두 시스템 콜을 통해 이루어집니다.2. 시스템 콜의 특징보안성: 시스템 자원은 커널에 의해 보호되며, 시스템 콜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합니다.추상화: 시스템 콜은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추상화를 제공하여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 2024. 9. 21. [운영체제]2. 운영체제의 기능과 종류 CPU 스케줄링 FCFS(First-Come First-Served) 선입선출 효율성 측면에서 좋지 않음 SJF(Shortest-Job-First) CPU 사용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스케줄링 (+)최소 평균 대기시간을 보장함 (-)Starvation(기아 현상) 발생 가능 RR(Round Robin) 각 프로세스는 동일 크기의 CPU 할당시간을 가짐(n-1) CPU 스스로 자원을 뺏을 순 없기 때문에 하드웨어적 지원을 받음 대기시간이 프로세스의 CPU 사용시간에 비례 메모리 관리 디스크(파일시스템) : 실행파일 보관(비휘발성) 가상메모리 :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독자적인 메모리 공간 (논리적인 주소 할당) 메모리 : 프로세스 작업(휘발성)이 일어남 (물리적인 주소 할당) 디스크(스왑영역) : .. 프로그래밍공부(Programming Study)/운영체제(OS) 2023. 3. 26.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