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Reading)/오늘의 책(Today's book)
실용주의 프로그래머(The Pragmatic Programmer) - 1일차
Chann._.y
2025. 5. 21. 00:30
728x90
- 프로그래밍은 미래를 덜 고통스럽게 만들려 노력하는 것이다.
→ 코드는 현재보다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작성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사고방식을 완전히 틀어서 습관, 행동, 기대를 바꾸어야만 한다.
→ 진정한 변화는 단순한 방법의 변경이 아닌, 사고 자체를 바꾸는 데서 시작됩니다.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즐기는 것이다.
→ 즐겁게 임할 때 창의력과 집중력이 극대화됩니다. 개발도 마찬가지입니다. - 혹시 책을 읽다가 전에 본 적 없는 단어와 진짜로 마주치게 된다면 부탁하건대 그냥 건너뛰지 말라. 시간을 들여 웹이나 컴퓨터 과학 교과서에서 찾아보라.
→ 배움에 대한 태도가 실력을 좌우합니다. 작은 호기심 하나가 깊은 이해로 이어집니다. - 오직 특정한 환경 조건들마다 가장 적절한 시스템들이 있을 뿐이다.
→ 모든 상황에 맞는 ‘완벽한’ 솔루션은 없습니다. 환경에 맞게 유연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 우리가 단지 돌을 자를지라도 언제나 대성당을 마음속에 그려야 한다.
→ 당장의 작은 일도 큰 목표 속에서 바라보면 더 의미 있게 다가옵니다. - 프로젝트의 전체 구조 속에는 언제나 개성과 장인 정신을 발휘할 여지가 있다.
→ 단순한 일이라도 정성과 창의력을 담을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래머의 품격을 결정짓습니다. - 당신에게는 스스로의 행동을 직접 결정할 수 있는 힘이 있다.
→ 책임감과 주체성을 갖고 행동하는 것이 진정한 전문가의 자세입니다. - 가능한지 물어는 보았나? 안 된다고 하면 된다는 다른 곳을 찾아라.
→ 가능성을 먼저 고민하세요. 문제 해결의 시작은 질문입니다. - 자신과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이다.
→ 남 탓 대신 자신을 돌아볼 줄 알아야 합니다. 책임은 성장의 출발점입니다. - 우리는 자신의 능력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지만, 실수나 무지 같은 단점도 인정해야만 한다.
→ 균형 잡힌 자존감이 중요합니다. 자신을 돌아보는 용기 또한 성장의 일부입니다. - 안된다고 하지 말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설명하라.
→ 부정보다는 대안을 제시하세요. 문제를 기회로 바꾸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발견하자마자 바로 고쳐라. 적절히 고칠 시간이 없다면 일단 판자로 덮는 것만이라도 하라.
→ 완벽을 기다리기보다는 실천이 우선입니다. 작게라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깨진 창문을 두세 개 고른 다음, 여러분의 동료들과 함께 무엇이 문제고 그걸 고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토론하라.
→ 공동의 문제 인식과 협력이 변화의 핵심입니다. 소통을 통한 해결이 필요합니다. - 큰 무리 없이 요구할 수 있을 만한 것을 찾아라. 그리고 그걸 잘 개발하라. 일단 무언가 생기면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그들이 경탄하게 하라.
→ 작지만 가치 있는 시작이 중요합니다. 실행이 곧 설득력입니다. - 계속되는 성공에 합류하기란 쉽다. 미래를 살짝이라도 보여 주면 사람들은 도와주기 위해 모여들 것이다.
→ 비전은 사람들을 이끕니다. 함께 나아갈 미래를 공유하세요. - 허락을 얻는 것보다 용서를 구하는 것이 더 쉽다.
→ 과감한 행동도 때로는 필요합니다. 단, 책임을 동반해야 합니다. - 큰 그림에 늘 주의를 기울여라. 당장 하고 있는 일에만 정신을 쏟지 말고,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늘 살펴보라.
→ 방향을 잃지 않기 위해선 넓은 시야가 필요합니다. 일의 맥락을 파악하세요. - 진짜로 주변을 살피고 의식하는 습관을 들여라. 그리고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똑같이 하라.
→ 문제는 늘 신호를 보냅니다. 감지하고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세요. - 오늘의 훌륭한 소프트웨어는 많은 경우 환상에 불과한 내일의 완벽한 소프트웨어보다 낫다.
→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이 미래를 엽니다. 완벽보다 실행이 중요합니다.
728x90